SUB VISUAL 연구활동

참고논문

INFO
제목 국내 관련 연구 목록
등록일 2017-01-20

<< 관련 연구들>>

 

남방 상좌불교 전통에서의 자애관 수행관

일중

구산논집, 9집. 2004.

 

달라이 라마의 자비 인성론에 관한 고찰
황용식
종교연구 40, 2005.


불교의 생명관과 자비의 마음-불교 생태학의 정초를 위하여-
한자경
불교학연구 제11호, 2005.


자비의 윤리
이중표
불교학연구 제12호, 2005.


중관학파의 공사상에서 자비의 성립과 완성
남수영
보조사상 25집, 2006.​

 

한국판 자기-자비 척도의 타당화 연구: 대학생을 중심으로

김경의, 이금단, 조용래, 채숙희, 이우경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 건강> 134. 2008 pp.1023-1044

 

 

사회,정서발달 : 성인기 여성의 스트레스, 마음챙김, 자기-자애(慈愛),

심리적 안녕감 및 심리 증상 간의 관계

이우경, 방희정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 발달> 214. 2008 pp.127-146

 

 

상담자의 자애명상 경험 연구

정연주, 김영란

한국상담학회, <상담학연구> 94. 2008 pp.1851-1862

 

계율에 나타난 분노의 정서와 자애를 통한 치유
이자랑
한국선학 제28호, 2010.
​ 

자기자비, 생활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증상들간의 관계

유연화, 이신혜, 조용래

인지행동치료, 10(2), 2010 pp. 43-59.   

 

분노사고와 분노표현에 있어서의 자기-자비의 완충효과

이상현, 성승연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 상담 및 심리치료> 231. 2011 pp.93-112

 

 

자애명상이 자기자비, 마음챙김, 자아존중감, 정서 및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왕인순, 조옥경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 건강> 164. 2011 pp.675-690

 

 

자기 자비, 생활 스트레스 및 탈중심화가 심리적 건강에 미치는 효과: 매개중재모형

조용래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 임상> 303. 2011 pp.767-787

 

 

자기 자비 대 주의분산 처치와 특질 자기 자비가 불쾌한 자기관련 사건에 대한

정서반응에 미치는 효과

조용래, 노상선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 일반> 303. 2011 pp.707-726

 

 

자기비판과 우울관계에서 지각된 스트레스와 자기자비 효과

조현주, 현명호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 건강> 161. 2011 pp.49-62

 

   
대승불전에서 자비 개념의 전개 양상
문을식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제18권 제1호. 2012.

 

 

초기불교문헌에서 자비의 문제-그 실천 이유와 근거-
윤영혜
한국불교학 제62집, 2012.

화병 환자의 자애명상 치료적 경험과정에 대한 연구

조현주, 김종우, 송승연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 상담 및 심리치료> 253. 2013 pp.425-448

 

 

병사의 지각된 스트레스 및 괴롭힘 피해경험과 우울의 관계: 자기 자비의 조절효과

박선영, 김경미

한국상담학회, <상담학연구> 146. 2013 pp.3691-3707

 

 

경계선 성격장애 성향 자를 위한 자기자비 함양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경계선 성격장애 성향 자를 위한 자기자비 함양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노상선, 조용래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Vol.32 No.1, [2013])[KCI등재]

 

 

자존감, 자기자비와 심리적 부적응 및 안녕감의 관계 자존감,

자기자비와 심리적 부적응 및 안녕감의 관계

박세란, 이훈진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Vol.32 No.1, [2013])[KCI등재]

 

성인 애착 불안이 외상 후 스트레스와 성장에 미치는 영향: 자기자비와 반추의 매개효과

하진의

(상담학연구, Vol.14 No.6, [2013])[KCI등재]

 

 

불안전 성인애착(애착불안, 애착회피)과 대인관계문제 및

심리적 디스트레스의 관계: 자기자비와 낙관적 성향의 매개효과 검증

이은지, 서영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6 No.2, [2014])[KCI등재]

 

 

자비명상과 마음챙김명상의 효과비교: 공통점과 차이점

김완석, 신강현, 김경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19 No.2, [2014])[KCI등재]

 

 

자비 및 자애명상의 심리치료적 함의

조현주

(인지행동치료, Vol.14 No.1, [2014])[KCI등재]

 

 

자애명상이 청소년의 충동성, 불안 및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조은영 김세곤

(한국불교상담학회지, Vol.4 No.1, [2012])

 

 

자기자비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공상의 자각과 탈중심화의 매개효과 검증:

공상의 자각과 탈중심화의 매개효과 검증

김연수 조성호

(발달지원연구, Vol.3 No.2,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