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자애명상 체험의 질적분석(불교학연구, Vol.47) |
---|---|
등록일 | 2017-01-20 |
A Qualitative Research Project on Experience of Heart Smile Meditation
성승연 박성현 미산 (불교학연구, Vol.47 No.-, [2016])[KCI등재]
현재 심리학계에서는 불교적 수행방법에 기반한 심리치료 프로그램이 유행하고있다. 주로 마음챙김에 기반한 프로그램들이 대다수였다면, 최근 자비가 주목받으면서 관련된 연구들이 활기를 띠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불교 대승 전통에 기초하여 개발된 자애미소명상1)을 체험한 11명의 일반인을 대상으로, 명상체험에 관한 인터뷰를 실시하고 그 내용을 질적인 연구방법인 합의적 질적 분석2)으로 분석하여 경험구조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수행동기, 수행 중 체험, 수행 후 변화, 수행에 대한 이해의 4개 영역으로 구분되었고 4개 영역의 하위로 총 22개의 범주가 생성되었다. 자애미소명상의 핵심체험은 에너지가 순환되고 몸이 이완되며 따뜻해짐, 몸에 대한 자각이 섬세해지고 변화에 민감해짐, 우주와 존재와의 연결감과 합일감을 느낌, 있는 그대로 수용함으로써 고요하고 온전함을 경험함, 행복과 감사의 마음을 경험함,자신과 이치에 대한 깨달음으로 요약되었다. 이를 통해 심리치료적 효과는 자기이해와 수용, 긍정정서의 확장, 정서를 조절하는 힘, 긍정적인 신체적 변화, 관계에서의 변화, 신심이 깊어짐 등 다양하게 변화를 나타냈다. 이에 대한 심리치료적 의미와 기제에 관해 논의하였다.